top of page
Search

[시편 54편] 믿음의 지혜

시편 54편의 표제는 “십(Ziph) 사람이 사울에게 이르러 말하기를 다윗이 우리가 있는 곳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던 때에”이다. 이것은 다윗이 이 시를 쓰게 된 배경이다(삼상 23장).


비록 사울 왕의 추격을 피해서 도망하던 중이었지만, 다윗과 그 일행은 블레셋의 침공을 받아 어려움 중에 있던 동족 그일라를 블레셋으로부터 목숨을 걸고 구원한다. 그러나 그일라 주민들은 그 은혜는 뒤로 한 채, 다윗과 그 일행을 사울에게 넘겨주려고 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다윗과 그 일행은 십(Ziph) 광야로 숨는데 여기는 다윗이 속한 유다 지파의 땅이었다. 그러나 다윗과 동족-동지파-친족인 십 사람들은 사울 왕에게 다윗의 은신처를 밀고(密告)한다. 이렇듯 두 차례의 연이은 배신감을 처절하게 겪은 다윗은 결국 이 시를 쓰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시를 <배신의 시, Betrayal Psalm>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나님이여 주의 이름으로 나를 구원하시고 주의 힘으로 나를 변호하소서

하나님이여 내 기도를 들으시며 내 입의 말에 귀를 기울이소서

낯선 자들이 일어나 나를 치고 포악한 자들이 나의 생명을 수색하며 하나님을 자기 앞에 두지 아니하였음이니이다

하나님은 나를 돕는 이시며 주께서는 내 생명을 붙들어 주시는 이시니이다

주께서는 내 원수에게 악으로 갚으시리니 주의 성실하심으로 그들을 멸하소서

내가 낙헌제로 주께 제사하리이다 여호와여 주의 이름에 감사하오리니 주의 이름이 선하심이니이다

참으로 주께서는 모든 환난에서 나를 건지시고 내 원수가 보응 받는 것을 내 눈이 똑똑히 보게 하셨나이다


배신을 당한 후 다윗이 썼던 이 시를 통해서 우리는 ‘믿음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 먼저 다윗이 배신을 당한 후에 그가 무엇을 붙잡았느냐를 잘 살펴봐야 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주의 이름”이다(1, 6절). “주의 이름이 나를 구원하시고... 주의 이름에 감사하오리니 주의 이름이 선하심이니이다.”


그렇다! 다윗이 붙잡은 것은 주님의 이름 곧 주님이다. 이것은 주님 외에 다른 모든 것들은 언제라도 배신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는 모든 피조물의 한계이기도 하다. 반면 이것은 주님만이 영원히 신실하시다는 것을 확증한다. 이는 창조주의 주권이기도 하다.


비록 다윗은 사람으로부터 수없는 배신을 당했으나 그에게는 ‘믿음의 지혜’가 있었다. 믿음의 지혜란 옳은 것을 믿고, 영원한 것을 붙잡는 분별력이다. 그 덕분에 그는 다시 살 수 있었다(7절). “참으로 주께서는 모든 환난에서 나를 건지시고 내 원수가 보응 받는 것을 내 눈이 똑똑히 보게 하셨나이다.”


믿되, 지혜롭게 믿어야 한다. 썩은 동아줄 같은 이 세상 만물을 붙잡아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피조물은 가변적이라 언제든지 배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믿음의 성도는 썩지 않고, 불타지 않는 ‘구원의 줄’ 되신 우리 주님만을 끝까지 붙잡아야 영생할 수 있다.

 
 
 

Comentarios


Untitled%20design_edited.png
율촌한인교회
    

ewellkoreanchurch@gmail.com

Ewell United Reformed Church
London Rd, Ewell, Epsom,
KT17 2BE

 
하나님을 예배하는 양무리
Ewell korean church
  

©2021 by Ewell Korean Church. 

 
bottom of page